내일 배움단
내일 배움단에 대해 들어 보셨나요?
내일 배움단의 모든 수업은 온라인에서 녹화된 강의 형태로 진행이 됩니다. 정해진 수강기간만큼은 우리가 편한 시간에 어디에서나 수강할 수 있도록 되어 있습니다.
하지만 내일 배움단을 이용하실 때는 국비지원 정책으로 인해 하루에 8강까지만 볼 수가 있으며, 하루에 1회는 본인인증을 필수로 해야 합니다. 본인인증을 할 때에는 문자 수신이 필 수입니다.
내일 배움단은 수강기간이 5주 이기 때문에 5주가 지나면 수강할 수가 없습니다. 하지만 기본 수강 기간 5주 동안 진도에 80% 이상 잘 따라가시게 되면 내일 배움단 강의를 평생 소장하게 될 자격이 주어 집니다. 소장할 수 있게 되면 그때부터는 편안하게 복습할 수 있게 됩니다.
기본 수강 기간으로 지정된 5주 동안 진도율 80% 이상을 충족시키는 것이 강의 수료의 기준이 됩니다. 이와 같은 강의 수료 조건을 충족시키실 때 본인이 결제하신 자비 부담금 모두를 환급받은 실 수 있게 됩니다. 아래의 내용을 통해 내일 배움단의 자세한 내용을 더 확인해 보시겠습니다.
내일 배움단 강의를 잘 수료를 하시면 수료증을 발급해 줍니다. 수료증을 받는 것은 스파르타코딩클럽에 있는 마이페이지에 들어가서 직접 다운로드하는 형식입니다.
내일 배움단 강의 수료를 다하시게 되면, 환급 신청이 가능해질 때 문의 하지 않으셔도 안내 문자를 보내드립니다. 일반적으로 내일 배움단 수료 이후 안내 문자를 받는대 최대 1개월이 걸릴 수도 있습니다. 안내 문자를 받게 되시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따라서 내일 배움단 신청을 진행하실 수 있습니다.
hdr-net 홈페이지를 로그인하세요, 오른쪽 상단에 있는 나의 정보를 클릭하세요, 공동 인증서를 로그인하세요, 왼쪽 나의 카드 클릭하세요, 자비부담금환급신청 클릭하세요, 훈련과정정보 추가 버튼을 클릭하세요, 본인회차 및 자비부담금을 확 안 하세요, 선택 후에 저장하세요, 지급 계좌정보를 입력하세요
이러한 방법으로 내일 배움단 강의를 듣기 위해 사용하신 자비 부담금을 환급받으실 수 있습니다.
국비 지원 코딩
사람들이 내일 배움단을 이용하는 것은 국비지원 40만 원의 인기 코딩 강의를 0원에 듣고 배울 수 있기 때문입니다.
내일 배움단에서 국비 지원 코딩 강의를 보기를 원하신다면 먼저 내일 배움 카드를 발급받으셔야 합니다.
만 75세 미만의 전 국민이며, 디지털 또는 신기술 분야 직업능력개발훈련을 받지 않은 분이라면 모두가 내일 배움 카드를 발급받을 수 있습니다. 내일 배움 카드를 실제로 수령하시면 곧바로 국비지원 코딩 강의 수강 신청을 할 수 있게 됩니다.
국비 지원 코딩 강의는 다음과 같이 하시면 됩니다.
hdr-net 홈페이지에 접속해서 강의를 선택하시고 신청하세요
hdr-net 홈페이지에서 자비부담금을 결제하세요
국비 지원 코딩 강의 수강 취소를 원하시면 개강일 오후 5시까지 수강취소를 요청하셔야 됩니다. 그래야 전액 환불이 가능해집니다. 하지만 개강일 오후 5시 이후에 국비지원 코딩 강의 취소 요청을 하시게 되면 환불이 불가능하게 됩니다.
현재 내일 배움단의 국비 지원 코딩 강의들은 코딩교육 1위인 스파르타코딩클럽에 있는 인기 강의 들로 구성이 되어 있습니다. 국비지원 코딩 강의의 커리큘럼은 다음과 같이 구성되어 있습니다. 웹개발 종합반, 엑셀보다 쉬운 SQR, 앱개발 종합반, 파이썬 데이터 분석, 게임 개발 종합반 이렇게 5개의 반으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내일 배움단 국비지원 코딩 강의들이 컴퓨터 프로그램에 관심이 있는 많은 분들에게 큰 도움이 되기를 희망합니다.
국민 내일 배움 카드 신청
국민 내일 배움 카드 국민 내일 배움 카드는 국민들이 살아가면서 해야 되는 직무 수행 능력과 습득 향상을 위해서 국민 스스로 직업 능력 개발 훈련을 실시하도록 훈련 비를 지원해 주는 카드
dlrtm1.tistory.com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갤럭시Z플립4 (0) | 2023.01.12 |
---|---|
국민 내일 배움 카드 신청 (0) | 2023.01.12 |
2023년 자동차세 아끼는 방법 (0) | 2023.01.11 |
인공위성이 한국에 떨어지면 생기는 일! (0) | 2023.01.10 |
2023년 기초 생활 수급자 생계급여 교육급여 의료급여 주거급여 (0) | 2023.01.10 |
댓글